반응형 술/술공부19 괌에서 마시면 좋은 맥주 13가지 괌에서 마시면 좋은 맥주 13가지 괌 Guam라거 계열의 맥주. 용기 표면에 괌을 상징하는 그림과 'GUAM' 글자가 크게 새겨져 기념으로 마셔도 좋고 선물용으로도 좋다. 호불호가 갈리는 맛이니 한 병만 먼저 따길 추천한다. 밀러 라이트 Miller Lite가볍고 달콤한 몰트 맛으로 옥수수가 함유됐다. 과일 향이나 홉의 쓴맛은 별로 없고 탄산도가 높다. 버드와이저 Budweiser전 세계 맥주 판매량 상위 30개 브랜드 가운데 하나. 북미에서 미국 스타일의 라거 가운데 가장 인기 있는 맥주다. 버드 라이트 Bud Light미국식 전통 라거인 버드와이저의 대표 하위 브랜드. 비교적 낮은 4.2도의 부드러운 목 넘김이 특징이다. 블루문 Blue Moon1995년 벨기에 스타일 화이트에일로 출시된 맥주. 벨기.. 2025. 2. 19. 괌에서 마시면 좋은 미국 와인 9가지 괌에서 마시면 좋은 미국 와인 9가지 1. 캔달 잭슨 빈트너스 리저브 샤르도네 Kendal Jackson Vintner's Reserve Chardonnay빈트너스 리저브 샤르도네는 변호사였던 제스 잭슨이 본격적으로 처음 생산한 와인. 1982년 첫 빈티지를 선보이고 이듬해 미국 와인 경영대회에서 최초로 플래티넘상을 수상했다. 풍부하고 부드러운 맛과 향으로 미국인의 입맛을 사로잡아 사상 초유의 샤르도네 열풍을 일으키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지금까지 미국 내 베스트셀러 와인으로 굳건하다.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즐겨 마시는 와인으로 유명하다. 2. 로버트 몬다비 우드브릿지 카베르네 소비뇽 Robert Mondavi Woodbridge Cabernet Sauvignon체리, 베리, 브라운슈거, 토스트 향에서.. 2025. 2. 18. 와인 용어 정리 와인 용어 정리 드라이 와인 Dry Wine : 달지 않은 와인. 반대로 단맛이 많이 나는 와인은 스위트 와인 Sweet Wine 이라고 한다. 마리아주 Mariage : '결혼'을 뜻하는 프랑스어로 와인에서는 음식과의 조화를 뜻한다. 머스캣 Muscat : 포도의 한 품종으로 이탈리아어로는 모스카토 Moscato 라고 한다. 머스캣으로 만든 와인은 단맛이 강한 편이라 입문자에게 좋다. 빈티지 Vintage : 포도의 수확 연도 샤르도네 Chardonnay : 화이트와인을 만들 때 사용하는 청포도 품종. 원산지는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이다. 샴페인 Champagne : 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생산되는 스파클링 와인. 샹파뉴 포도 재배지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다른 곳에서 생산되는 스파클링 와인은.. 2025. 2. 17. 괌에서 마시면 좋은 칵테일 9가지 괌에서 마시면 좋은 칵테일 9가지 1. 피나 콜라다 Pina Colada'파일애플이 무성한 언덕'을 뜻하는 스페인어로, 파인애플 맛과 달달한 코코넛 향이 들어간 칵테일을 말한다. 럼 대신 보드카를 베이스로 한 것은 치치 Chi Chi 라고 한다. 2. 블루 하와이 Blue Hawaii화이트 럼과 블루 퀴라소가 괌의 바다와 하늘을 연상시키는 칵테일이다. 색깔도 예쁘고 맛도 달콤해서 여성들에게 인기있다. 3. 준벅 June Bug멜론과 코코넛 향이 나는 달콤한 칵테일로 알코올 맛이 거의 느껴지지 않아 술이 약한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4. 마이타이 Mai tai파인애플 주스와 코코넛 밀크가 들어간 칵테일로, 마이타이는 '최고'를 뜻하는 타히티어다. 5. 깔루아 밀크 Kahlua Milk도수 5도 가량의 커피 .. 2025. 2. 16. 칵테일 용어 정리 칵테일 용어 정리 드라이 Dry : 와인이나 스피릿(증류주)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로 단맛이 적고 쓴맛이 나는 것을 말한다. 머들링 Muddling : 재료를 섞기 위해 바 스푼으로 휘젓는 것. 또는 완성된 칵테일을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의 막대로 휘저으며 마시는 방법. 베이스 Base : 칵테일을 만들 때 기본이 되는 술. 셰이크 Shake : 셰이커에 양주, 설탕, 시럽 등을 정량 넣고 얼음덩이와 함께 흔들어 섞는 것. 소프트 드링크 Soft Drink : 알코올 성분이 함유되지 않은 음료. 스노 스타일 Snow Style : 칵테일 글라스 가장자리에 레몬즙을 묻히고 거기에 설탕이나 소금을 덧붙여 눈처럼 보이게 한 것. 스퀴즈 Squeeze : 과실의 즙을 짜는 것. 스터 Stir : 바 스푼으로 .. 2025. 2. 15. 럼의 역사와 특징 공부 사탕수수즙 또는 당밀 등의 제당 공정 부산물을 발효, 증류시켜 만든 증류주. 달콤한 냄새와 특유의 맛이 있다. 위스키, 브랜디, 보드카와 마찬가지로 증류주이기 때문에 사탕수수로 만들긴 하지만 단맛이 나지는 않는다. 역사 원료가 원료이니만큼 한때 진이나 보드카처럼 저렴한 술이었고, 태생이 태생이다보니 아직도 싸구려 이미지가 짙지만, 정작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것들은 칵테일 베이스용 저가 화이트 럼이 아니면 고급 다크 럼들이다. 이런 이미지는 주요 소비층이 뱃사람, 특히 상선사관이나 해군 장교 같은 이들이 아니라 하급 선원이나 수병, 어부, 해적 같은 하류계층이기 때문에 생겼다. 럼의 기원은 서인도 제도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의 확대와 함께 그 부산물을 이용한 주조법이 확산되는 17세기 초 바베이도스 섬에 증.. 2023. 12. 25. 버번 위스키의 역사와 특징 아메리칸 위스키의 한 종류로, 줄여서 버번이라고 부른다. 미국 문헌에 옥수수를 증류한 후 숙성시켜 만든 증류주는 18세기에 등장하며, 이 위스키에 "버번"이 붙은 것은 1820년도 의 어느 때로, 아예 버번 위스키라는 이름이 켄터키 지방의 위스키로서 완전히 고유명사화한 때는 1870년도로 추정된다. 그 명칭은 프랑스 왕조인 부르봉 왕가에서 유래하는데, 미국 독립전쟁 당시 프랑스에서 도와줬던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서 켄터키의 한 카운티 이름을 버번 카운티라 지은 것에서 연유한다. 일반적으로 위스키는 보리나 호밀 등으로 만들지만, 버번 위스키는 옥수수가 51% 이상 들어간 원액을 사용하고, 안쪽을 불에 태운 새 오크통을 이용해서 숙성한다. 그래서 그레인 위스키로 분류된다. 재료에 따른 구분이기는 하지만, 미국.. 2023. 2. 6. 하이볼이란?(하이볼의 역사와 특징, 제조법 공부) 하이볼은 칵테일 제조법의 일종이다. 기본은 얼음을 채운 텀블러 글라스에 증류주를 일정량 넣고 그 위에 탄산수나 다른 탄산음료를 부어 만든다. 증류주로는 위스키가 제일 흔히 쓰인다. 여기에 레몬 혹은 라임 등을 필하여 상큼한 맛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이볼의 역사 도수가 높은 위스키에 소다를 타서 마시는 방법은 19세기 영국 상류층에서 먼저 유행하던 방식이었는데, 이때는 스카치 앤 소다 혹은 위스키 앤 소다로 불리었다. 이게 미국으로 넘어가 기차 식당칸에서 톨 글래스에 담겨져 제공되면서 미국에서 큰 유행이 되었고, 바텐더들은 이런 방식의 칵테일을 하이볼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즉, 하이볼이란 명칭은 바텐더들 사이에서 쓰여지는 슬랭이었다. 하이볼이라고 불려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 어원이 있으나, 가장 유력.. 2022. 6. 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